제대혈이란....
2002-08-23조회수 5,487
- 제목
-
제대혈이란....
- 작성일
- 2002.08.23
- 작성자
- 한성식
- 조회수
- 5,487
본문
태어날 아기의 탯줄혈액('제대혈'이라고 불림)에는 혈액과 면역체계의 근간인 조혈모세포(Stem Cell)라는 소중한 자원이 들어있습니다.
조혈모세포는 백혈구, 적혈구, 혈소판으로 분화되어 인간의 혈액과 면역체계를 이루게 됩니다.
즉 조혈모세포는 인간의 생존유지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며 보통 골수나 아기의 태반과 탯줄에 존재합니다.
흔히 골수이식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실은 골수 조혈모세포이식이며, 아기의 탯줄혈액의 조혈모세포 또한 똑같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. 오히려 골수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이 있습니다. 제대혈에 들어있는 조혈모세포는 골수에 들어있는 조혈모세포보다 미성숙하기 때문에, 유전인자(조직적합성항원) 6개가 다 일치해야 이식이 가능한 골수 조혈모세포에 비해 탯줄혈액(제대혈) 조혈모세포는 3개의 유전인자만 맞으면 실제 이식이 가능하고, 이식수술 후 면역학적인 부작용이 훨씬 적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.
또한 탯줄혈액은 골수에 비해 쉽게 채취할 수 있습니다. 아기가 태어나 탯줄을 자른 후 태반쪽 탯줄에서 약 70~100ml 정도가 산모나 아기에게 전혀 부담을 주지 않는 상태로 채취됩니다. 그 속에 들어있는 조혈모세포의 양과 기능은 골수 약 500ml~1000ml 속에 들어있는 것과 비슷합니다.
이렇듯 탯줄혈액 조혈모세포는 조직적합성항원이 일치하지 않는 이식에서도 합병증이 적고, 골수 속 조혈모세포에 비해 그 채취방법이나 조혈기능, 증폭능력이 뛰어나 골수를 대체할 자원으로 각광받고 있으며, 백혈병과 각종 암의 치료뿐만 아니라 유전자요법 등 그 유용성이 다양합니다
조혈모세포는 백혈구, 적혈구, 혈소판으로 분화되어 인간의 혈액과 면역체계를 이루게 됩니다.
즉 조혈모세포는 인간의 생존유지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며 보통 골수나 아기의 태반과 탯줄에 존재합니다.
흔히 골수이식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실은 골수 조혈모세포이식이며, 아기의 탯줄혈액의 조혈모세포 또한 똑같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. 오히려 골수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이 있습니다. 제대혈에 들어있는 조혈모세포는 골수에 들어있는 조혈모세포보다 미성숙하기 때문에, 유전인자(조직적합성항원) 6개가 다 일치해야 이식이 가능한 골수 조혈모세포에 비해 탯줄혈액(제대혈) 조혈모세포는 3개의 유전인자만 맞으면 실제 이식이 가능하고, 이식수술 후 면역학적인 부작용이 훨씬 적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.
또한 탯줄혈액은 골수에 비해 쉽게 채취할 수 있습니다. 아기가 태어나 탯줄을 자른 후 태반쪽 탯줄에서 약 70~100ml 정도가 산모나 아기에게 전혀 부담을 주지 않는 상태로 채취됩니다. 그 속에 들어있는 조혈모세포의 양과 기능은 골수 약 500ml~1000ml 속에 들어있는 것과 비슷합니다.
이렇듯 탯줄혈액 조혈모세포는 조직적합성항원이 일치하지 않는 이식에서도 합병증이 적고, 골수 속 조혈모세포에 비해 그 채취방법이나 조혈기능, 증폭능력이 뛰어나 골수를 대체할 자원으로 각광받고 있으며, 백혈병과 각종 암의 치료뿐만 아니라 유전자요법 등 그 유용성이 다양합니다